해결할 프로덕트 디자인
아르티엄 다신스키
52p 프레임워크 치트 시트
왜 (당신의 목표를 이해하라)
이 프로덕트나 기능은 왜 중요할까?
우리는 어떤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일까?
이 문제는 세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 프로덕트가 제공하는 고객 편인(Customer Benefit)은 무엇일까?
이 프로덕트로 어떤 비즈니스 기회를 만들 수 있을까?
(기존 프로덕트 라면) 이 프로덕트가 회사의 미션을 어떻게 확장시킬까?
누가 (오디언스를 정의하라)
이 프로덕트를 사용하려는 동기부여가 현저히 다른 고객 유형은 누구일까? 그중 하나를 선택하라
이 오디언스 내부에서 니즈가 각기 다른 집단을 누구일까? (세그먼트)
언제 그리고 어디서 (고객의 컨텍스트와 니즈를 이해하라)
컨텍스트와 조건들을(언제 그리고 어디서) 목록화하라
고객이 위치하는 물리적 공간은 어디일까?
이 니즈를 촉발시키는 트리거 이벤트가 있을까?
고객의 가용한 시간은 얼마나 될까?
고객은 어떤 감정을 경험할까?
(고객의 니즈를 목록화 하라)
고객이 이 니즈를 해결하고 싶은 우선적인 동기부여는 무엇일까?
고객은 이 니즈를 어떻게 달성할 수 있을까?
무엇을 (아이디어를 목록화 하라)
회사는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무엇을 만들 수 있을까?
아이디어의 우선 순위를 정하고 하나를 선택하라
임팩트x노력 매트릭스
구현 노력 vs 도달 범위, 고객 가치, 잠재 수익
솔루션을 만들어라
스토리보드를 작성하라
태스크들을 정의하라
간략하게 스케치하라
어떻게 (성공을 측정하라)
솔루션의 성공 여부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태스크 성공률, 태스크 완수 시간, 참여, 리텐션, 수익, 전환, 유저 획득, 순수 고객 추천 지수 등
210p 나는 비즈니스 감각이 뛰어난 디자이너가 우리 산업의 미래를 짊어질 주인공이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우리는 프로덕트 문제에만 집중하는 사용자 경험 디자이너에서 벗어나, 전체 고객 여정의 기틀을 세우는 고객 경험 디자이너로 거듭나야 합니다. (…) 디자인 리더가 앞으로 10년 동안 해결해야 하는 숙제가 있습니다. 자신의 조직에서 영향력을 구축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이해하는 것입니다.
212p 우리 디자이너는 비즈니스 전략을 토론하고, 수익을 이해하고, 모든 채널의 전환 지표를 빠짐없이 철저히 조사하고, 고객 지원 부서의 상담 전화를 귀동냥하고, 마케팅에 귀중한 정보가 될 수 있는 고객 행동 유발 요소를 찾는 등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을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일은 오늘날 우리 디자이너가 별로 잘하지 못하는 영역들이죠. (…) 이 변화 하나가 당신의 회사와 고객을 더 높은 가치까지 이전(value transfer)시킬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귀중한 회사 돈이 디자인에 재투자될 수 있도록 회사로부터 대대적인 지지를 획득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220p 디자이너에게 타깃 시장이 주어지면 보통 지시를 준 사람이 가정한 것이 옳다고 믿습니다. 하지만 그러한 가정은 대개 옳지 않으며 누군가의 편견에 깊이 물들어 있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디자이너는 철저한 조사를 수행하여 가정을 검증하고, 아무도 원하거나 필요하지 않는 것을 만드는 데에 팀이 시간을 낭비하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 가정을 재확인하는 데에 유용한 산출물은 다양합니다. 사용자 경험/서비스/여정을 지도로 작성해도 좋고, 디자인 스프린트를 실시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혹은 심층적인 시장 조사를 수행할 수도 있습니다.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