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지컬 씽킹
데루야 하나코 , 오카다 게이코
메모
답변할 과제 확인
상대에게 어떤 반응을 얻고 싶은지 분명히 한 뒤
자신의 결론이 무엇인지 생각
결론이 떠오르지 않는다면 과제가 해결되지 않은 것
결론을 확실히 알고 있으나, 그 근거가 제대로 정리되지 않는다면
MECE, So What/ So Why 기법 활용
당신이 생각하는 결론을 상대도 역시 명쾌하게 받아들이느냐
당신이 생각하는 근거를 상대가 충분히 납득 하느냐
당신이 제안하는 방법으로 상대가 움직일 수 있느냐
모든 커뮤니케이션에는 과제와 답변, 답변의 핵심이 되는 결론이 서로 모순 없이 꼭 들어 맞아야 한다
상대에게 결론을 명확하게 전달하려면, 이렇게도 저렇게도 해석될 수 있는 모호한 표현을 배제해야 한다 e.g. 상황에 따라서, 경우에 따라서
'상황'의 조건을 정확히 명시하여, '이 경우 다른 선택을 해야 함' 이라는 결론을 제시
p.54 감도 있게 글을 읽고 이야기를 듣는 것이 곧 뛰어난 의사 전달자가 되는 지름길
중복, 누락, 혼재
이 내용이 겹친다, 이 내용이 결여됐다, 종류가 다른 이야기다
전체 집합이 분명하고
전제 집합이 어떤 부분 집합체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알고 있는 것이 중요
어떤 부분 집합으로 나눌 수 있는지 생각
부분 집합의 기준 → 어떤 관점
사람들에게 설명할 때는, 적합한 관점 기준으로 분류
그룹핑은 수많은 정보가 흩어져 있을 때 MECE 기준을 찾아내 전체상을 파악하기 쉽게 몇몇 그룹으로 분류하는 작업이다
꺼내 놓은 정보를, 과제의 답변으로 자신이 내린 결론을 설명하기에 쉽고 의미있는 MECE 관점을 의식하면서, MECE 기준에 따라 정리한다
그러면 잡다한 정보가 몇 개 그룹으로 분류된다
그러고 나서 각 그룹의 정보를 살펴보고 제목을 붙인다
제목을 뭐라고 할지 잘 생각나지 않는다면 다른 종류의 정보가 섞여 있을 가능성이 높다
그룹으로 나눈 정보를 살펴보고 각각의 그룹마다 제목을 붙인 뒤 다시 한데 모았을 때 전체를 MECE한 관점으로 분류한 것이 돼야 한다
→ 중복, 누락, 혼재가 있다면 다른 MECE 기준으로 재시도 반복
나눈 그룹 사이에 서로 MECE 관계가 성립돼야 한다
※세세하고 정확하게 나누는 게 아니라, 우선 크게 묶어보고 제목을 붙여 전체를 알아보기 쉽게 하는 것이 의미있는 그룹핑이다. 즉, 부분 집합과 그 집적으로서의 전체 집합을 명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습하면서 속도와 정확도가 높아짐
기준의 정의가 명쾌한지, 사람마다 해석에 차이가 발생하지는 않을지 확인
이야기의 비약을 없앤다
전하려는 결론과 근거 또는 결론과 방법의 맥락을 상대가 쉽게 이해하도록
So What? (결론)
수집한 정보와 소재에서 '결국 어떻다는 것인지'를 알아내는 작업
'그래서', '따라서' 앞에 오는 정보나 소재에서 과제의 답변에 맞는 중요한 핵심을 추출하는 작업 —내용 확인 필요—
Why So? (근거)
준비한 정보와 자료로 확실하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왜 그렇게 말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무슨 뜻인지를 검증하고 확인하는 것에 해당
So What?/Why So?에는 두 종류가 있음
관찰 : 현상이나 사실의 핵심을 정확히 설명
통찰 : 현상이나 사실의 근거로 공통 사항 또는 메커니즘 파악
인간은 누구나 자신의 관심사나 평소 익숙한 문맥에 의존해서 문제와 상황을 해석하려 한다
어떤 정보가 나타내는 사실을 상대도 똑같이 관찰하고 있지는 않다는 소리
끝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