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레볼루션
마셜 밴 앨스타인 , 상지트 폴 초더리 , 제프리 파커
36p 기업들이 전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전통적인 시스템을 우리는 '파이프라인(pipeline)'이라고 말한다. 플랫폼과 달리 파이프라인은 가치의 창출과 이동이 단계적으로 일어나며, 이때 파이프라인의 한쪽 끝에는 생산자가, 반대편 끝에는 소비자가 있다. (...) 이와 같은 단선적 형태로 인해 우리는 파이프라인 비즈니스를 '선형적 가치 사슬(linear value chain)'이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41p 플랫폼 시장에서는 공급의 성격이 달라진다. 이제 공급이란 한때 수요처에 불과했던 커뮤니티에서 유휴 자원*, 장치, 설비 등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게 되었다. 전통적인 기업들은 실시간 재고 시스템을 운영하지만, 신생 플랫폼 기업들은 '아예 내 것이 아닌 재고(not-even-mine-inventory)'시스템을 운영한다.
(...) 따라서 플랫폼은 시장에 새로운 공급처를 제공하여 전통적인 경쟁 구도를 파괴한다.
*유휴 자원 : 현재 사용되지 않는 자원
43p 플랫폼의 가치는 대부분 사용자 커뮤니티에 의해 생성된다. 따라서 플랫폼 비즈니스는 반드시 내부 활동에서 외부 활동으로 초점을 옮겨야 한다. (...) 마케팅 메시지가 이제는 소비자들에 의해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마찬가지로 정보 기술 시스템도 백오피스(back-office)인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에서 프론트 오피스(front-office)인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시스템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가장 최근에는 사무실 밖을 의미하는 아웃 오브 디 오피스 실험이 소셜 미디어와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이뤄지고 있다. 이는 내부에서 외부로 초점이 움직이고 있음을 보여 준다.
기업 재무도 주 가치와 회사 보유 자산의 미래 현금 흐름 가치를 중시하는 관점에서 이해당사자 가치와 회사 외부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의 역학을 중시하는 쪽으로 옮겨 가고 있다.
이제 혁신은 더 이상 사내 전문가들과 연구 개발팀의 영역에 머물지 않고, 크라우드소싱과 플랫폼에 있는 독립적인 참여자들의 아이디어를 통해 일어난다.
…ing
MORE POSTS